법인 직원 등록 하는 방법
(4대 보험 취득 신고, 청년 추가고용장려금)
법인회사 운영시 직원을 신규 채용하게 되면 어떻게 직원 등록을 하는지에 대한 절차를 알려드리고자합니다.

1단계: 계약서 작성
채용이 완료된 후 회사는 근로계약서와 연봉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근로계약서는 계약 기간, 업무 내용, 근무 장소, 근로 조건, 임금 등을 명시하며, 계약직으로 채용한 경우 근로 계약서에는 계약 시작일과 종료일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연봉계약서에는 계약 기간, 지급 시기 및 방법, 연봉 금액을 포함해야 합니다.
2단계: 4대 보험 취득
회사는 건강보험 외에 3개 보험에 대해 자격 취득 신고를 직원 입사일이 속한 달의 익월 15일까지 해야하며, 건강보험은 입사일 기준 14일 이내에 신고해야 합니다. 또한, 신규로 설립된 회사는 ‘사업장 성립신고’를 먼저 진행해야 합니다.
✅ 4대 보험 취득일 : 신규입사자 입사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 4대 보험 자격 취득 신고 기한
– 건강보험 : 입사일 기준 14일 이내
–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 : 입사일 기준 다음 달 15일까지
퇴사했다면요?!
상실 신고는 앞서 언급한 취득 신고와는 반대로 직원이 퇴사할 때 해야 하는 신고입니다. 직원 퇴사일을 기준으로 다음 달 15일까지 해야 하니 되도록 빠르게 처리하는 게 좋습니다.
✅ 4대 보험 자격 상실 신고 기한 : 퇴사일 기준 다음 달 15일까지
취득 신고/상실 신고 하는 곳
3단계: 근로자명부 작성
근로자명부는 회사의 근로자 정보를 기록하며, 근로자와의 분쟁이 발생하거나 근로 감독 조사에 필요한 자료로 사용됩니다. 이는 근로자의 해고, 퇴직, 사망한 날로부터 3년 동안 보존해야 합니다.
4단계: 급여대장 작성
회사는 근무한 직원에게 임금을 지급한 후에 급여대장을 작성해야 합니다. 급여대장에는 직원의 인적사항, 근로일수, 기본급과 수당, 연장/야간/휴일 근로 시간 수 등의 임금 내역을 기록하며, 이를 마찬가지로 3년간 보존해야 합니다.
5단계: 인건비 신고
마지막으로, 회사는 달마다 세무서에 인건비를 신고해야 합니다. 이는 원천세와 함께 매월 10일에 납부되며, 누락 시 법적으로 경비 인정을 받지 못해 추가 입증 요청이 올 수 있습니다.

추가 : 청년추가고용장려금
- 지원내용: 청년 추가채용 1명당 연 최대 900만원을 3년간 지원
- 지원대상: 청년을 정규직으로 신규 채용한 5인 이상 중소‧중견기업(성장 유망업종, 벤처기업 등은 5인 미만도 가능)
- 절차/방법: 사업체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 기업지원부서에 방문 제출 또는 고용보험시스템(www.ei.go.kr)으로 온라인 신청
- 구비서류: 장려금 지급 신청서, 근로계약서, 임금 지급 증빙 서류 등
- 문의처: 사업체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 / 연락처 국번없이 1350, 소재지 관할 고용센터 기업지원부서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 제도는 청년 고용의 확장을 독려하기 위해 구상되었습니다. 청년을 새로 고용하는 사업자에게는 1인당 연간 최대 900만 원에서 1,400만 원(월 최대 750,000원~1,166,660원)의 장려금이 지급됩니다. 이 장려금은 청년이 채용된 후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지원되는데, 매우 높은 수준의 지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전에 운영되었던 청년추가고용장려금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중소기업이 3명의 청년을 채용하면 1명의 인건비를 지원하는 ‘2+1’ 형태의 정책이었습니다. 그러나 지난 6월 1일부터는 이 정책이 개선되어, 30인 미만의 기업이라면 1명, 30~99인의 기업은 2명, 그리고 100인 이상의 기업은 3명 이상의 청년을 채용하더라도 3년 동안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확장되었습니다. 또한 지원 금액도 1인당 연간 667만 원에서 900만 원으로 상승하였으며, 각 기업은 최대 90명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이 정책은 2018년 3월 15일 이후에 청년을 신규로 채용한 사업체에 적용됩니다.
이외에도 일부 유해업종을 제외하고, 5인 이상의 중소기업과 중견기업까지 지원 대상이 확대되었습니다. 5인 미만의 기업 중에서도 성장유망업종, 벤처기업, 지식서비스 및 문화콘텐츠산업,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등이 해당된다면 지원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청년 고용 확대를 위한 지원이 대폭 강화되어 청년 채용을 고려하는 기업에는 매우 유리한 조건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신청 정보 확인하기 :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49200000140